신재생에너지와 산업전망은?

에너지이야기

신재생에너지와 산업전망은?

energypark 2021. 3. 17. 17:17
728x90
반응형

신재생에너지와 산업 전망은?

2050년 탄소중립, 한국형 그린 뉴딜, 미국의 파리 기후변화 협약 복귀 등 최근 국내외 에너지 환경이 급변하고 있습니다.   이에 따라 온실가스 감축과 탄소중립을 실현키 위한 방편 중 하나로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관심이 날로 높아지고 있습니다.

1896년 스웨덴 화학자 아레니우스라는 사람은 대기 중에 이산화탄소 농도가 2배 증가하면 지구 온도가 5~6도 높아진다는 논문을 발표한 바 있습니다.  이때 온실가스라는 용어가 처음 사용되었다고 합니다.

당시 화석연료를 태워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높이면 그린란드 같은 고위도 지역까지 농업이 가능하다는 주장도 등장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그 당시에는 배부름과 풍요를 연상시켰을 지구온난화가 전 지구적 위기 상황으로 인식되기 시작한 것은 비교적 최근의 일이라 할 수 있죠.  국제사회가 이 문제를 해결키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데 힘을 모으고 있습니다.

이에 신재생에너지는 화석에너지의 고갈과 환경문제에 대한 주요 해결 방안이며, 신성장 동력인 친환경에너지산업이라고 말하는 전문가들이 많습니다.

유가의 불안정, 기후변화 협약 규제 대응 등으로 신재생에너지의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에너지 공급 방식의 다양화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죠.

이에 따라 선진국에서는 신재생에너지에 대한 꾸준한 연구개발과 보급정책 등을 적극 추진 중입니다. 

우리 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  2017년 12월 재생에너지 3020 이행계획을 발표하고, 적극 추진 중입니다. 원자력과 화석연료에 의존해온 에너지원을 깨끗한 신재생에너지로 전환해 나가고 있습니다.

국제 에너지 기구(IEA : International Energy Agency)에 따르면 2030년 전 세계의 에너지 수요 증가율은 2017년 대비 재생에너지 45%, 천연가스와 원자력 23%, 원유 9%, 석탄은 0.9%로 재생에너지산업이 가장 크게 발전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이에 우리나라도 2030년까지 1차 에너지의 20%를 신재생에너지로 보급한다는 중장기 목표를 세우고 기술개발과 보급사업 등에 지원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대부분은 태양광, 풍력 발전 등을 중심으로 집중 추진하고 있습니다.

비록 저렴한 전력요금과 태양광에 대한 주민 수용성이 낮아 태양광산업 발전의 걸림돌이 되고 있지만 적극적인 홍보와 적합한 사업모델 개발을 통해 해결할 것으로 보입니다.

미국, 일본 등이 달성한 Grid Parity(화석연료의 발전단가와 재생에너지 발전단가가 동일 해지는 상황)는 우리나라의 경우는 상대적으로 낮은 전력요금으로 인해 2025년 이후에나 달성 가능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향후 에너지 수요 감소에 대비한 신재생에너지 기초분야 기술개발, 에너지 관련 스마트산업 육성, 스마트 계량기 보급 등을 통한 효율 향상이 이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관련 기업 주가는 대체적으로 상승세를 타고 태양광 기사 등 해당 자격증의 인기도 높은 편입니다.

이에 따라 관련 국내 산업과 해외 수출 활성화 등으로 신재생에너지 관련 산업 분야는 미래가 밝다고 할 수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
LIST